2019-06-04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는 아마존닷컴이 제공하는 각종 원격 컴퓨팅 서비스로, 다른 웹 사이트나 클라이언트측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WS 서비스의 상당수는 최종 사용자에 직접 공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개발자가 사용 가능한 기능을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이다. 여기서 PaaS란 'Platform as a Service'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앱을 개발하거나 구현할 때 관련 인프라를 만들고 유지보수하는 복잡함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PaaS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개념을 개발 플랫폼에도 확장한 방식으로,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 없이 필요한 개발 요소를 웹에서 쉽게 빌려쓸 수 있게 하는 모델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의 각종 서비스는 REST 프로토콜 및 SOAP 프로토콜을 통해 접근,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비용은 실제 사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일부 서비스의 경우 미리 고정된 금액을 지불하는 형태도 있다.
AWS는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인프라 서비스 시장점유율은 50%가 넘는다. 경쟁사들의 점유율을 모두 합쳐도 AWS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AWS가 경쟁사들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승승장구할 수 있는 비결이 뭘까? 같이 살펴보도록 하자.
위의 승승장구 비결에서 소개한 바가 있지만 AWS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영역으로 확장에 나서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기존 기업의 자체 데이터센터(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유기적으로 연동해 운영하는 절충형 클라우드 기술이다.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인 비용 절감과 유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갈수록 중요해지는 중요한 기업 데이터 보호, 보안 등의 이슈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려면 기업 내부에서 운영할 하드웨어 기반 데이터센터가 필요하다. 그래서 AWS는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플랫폼도 직접 공급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리소스와 퍼블릭 클라우드 리소스를 모두 사용하는 것인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한다. 또한 데이터센터 용량을 확장하고, 새로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능을 활용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고객에게 더 가깝게 이동한다. 비용 효율적인 고가용성을 통해 백업 및 재해 복구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다. 온프레미스 기술 시스템을 갖춘 조직 대부분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운영이 필요하다. 레거시 IT 시스템을 마이그레이션 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데, 이 때문에 작업을 간소화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좀 더 쉽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온프레미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가의 신규 투자 없이 하이브리드 전략을 구현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공급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AWS는 피드백 기반의 신속한 서비스 개발로 클라우드 전략을 이어나가 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집중하고자 하는 비전을 이루고자 한다. AWS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확장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앞으로가 기대되는 바다.